청산별곡
해제와 주제, 구성
이 작품은 고려 속요 중 문학성이 가장 뛰어난 작품의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악장가사>에 전문이 실려 있고, <시용향악보>에는 1연과 곡조가 실려 있으나, 옛 문헌에서 작품에 대한 해설은 찾을 수 없다. 전체 8연의 형식으로, 매 연마다 후렴구가 붙어 있다. 정형적 율격, 시구의 반복, 울림소리의 반복적 사용으로 음악성이 두드러진 작품이다.
주제
삶의 고뇌와 비애
삶의 터전을 잃은 유랑민의 슬픔
주요 내용 정리 1
① 후렴구는 밝고 경쾌한 느낌을 주고 있다. 이는 사설의 내용과 조응하지 않는다.
② 1연과 6연의 내용이 대칭되고 있다.
③ 1~4연의 시상 전개 과정이 5~8연에서 동일하게 반복되지 않는다.
④ 각 연에서 계절에 따라 변화되는 대상의 모습은 나타나지 않는다.
⑤ ‘쳥산’, ‘바ᄅᆞᆯ’ 등 공간을 나타내는 소재들이 사용되고 있다.
⑥ 각 연마다 3.3.3(2)조의 정형적 율격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⑦ 후렴구에서 ‘ㄹ’, ‘ㅇ’ 등의 특정 음운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⑧ 3연의 ‘가던 새 가던 새 본다 믈 아래 가던 새 본다’는 화자의 내면과 대조되는 자연물의 특성을 강조하는 것은 아니다.
⑨ ‘가던 새’는 화자의 내면이 투영되어 있는 자연물이다.
⑩ 7연의 ‘사ᄉᆞᆷ’도 화자의 내면과 대조되는 자연물이라고 볼 수 없다.
주요 내용 정리 2
① ‘사ᄉᆞᆷ’이 ‘짐대’에 올라 ‘해금’을 켜는 정경은 화자의 절박한 심정을 부각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② 1연과 6연에서는 평서문 종결 방식이 사용된 ‘살어리랏다’를 반복하고 있다.
③ 1연에서는 ‘쳥산’, 6연에서는 ‘바ᄅᆞᆯ’에 살겠다는 의지적인 태도를 점층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④ ‘우러라’는 감탄형 종결 방식이 사용된 감탄문으로 볼 수 있다.
⑤ ‘우러라’에 ‘새여’가 이어지고 있는데, ‘새여’는 호격 조사 ‘여’가 사용된 호격 표현이다.
⑥ 4연의 ‘바므란 또 엇디 호리라’는 의문형 종결 방식이 사용된 의문문으로 볼 수 있다.
⑦ 4연의 의문형을 통해 ‘밤’을 견디기 힘든 화자의 처지가 강조되고 있다.
⑧ 5연이 ‘어듸라 더디던 돌코 누리라 마치던 돌코’는 의문문으로 ‘돌’을 맞은 화자의 암담한 처지를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
⑨ 8연의 ‘가다니 배브른 도긔 설진 강수를 비조라’는 감탄문으로 볼 수 있다.
⑩ ‘내 엇디 ᄒᆞ리잇고’와 같이 의문문을 제시하고 있다.
주요 내용 정리 3
① 2연의 ‘새’는 하늘을 날아다니는 새로 보면 화자의 감정이 이입된 대상으로 볼 수 있다.
② 1연의 ‘멀위’, ‘ᄃᆞ래’는 현실과 대조적 성격을 지닌 ‘쳥산’에서 살면서 먹겠다고 말한 것이다.
③ 4연의 ‘밤’은 ‘오리도 가리도 업슨’ 시간이다.
④ 화자를 농토를 빼앗기고 유랑하는 농민으로 볼 수도 있다.
⑤ 5연에서 ‘돌’에 맞아 우는 것은 화자이다.
⑥ ‘강수’는 ‘독한 술’이다. 술은 내면의 고뇌, 갈등 등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문학개념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흥(윤선도), 개념정리 (0) | 2023.12.09 |
---|---|
어부단가(이현보) 개념정리(연시조) (0) | 2023.12.09 |
서경별곡, 개념정리(고려가요) (0) | 2023.12.04 |
가시리, 개념 정리(고려가요) (0) | 2023.11.27 |
만전춘별사, 개념 정리(고려가요) (0) | 2023.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