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개념정리

촉규화 개념정리(최치원)

철투쌤 2023. 12. 16. 18:28
반응형

촉규화

해제

‘촉규화(접시꽃)’라는 꽃이 피어 있는 모습을 통해 낮은 신분으로 인해 자신의 능력을 펼쳐 보이지 못하는 화자의 안타까움을 드러낸 작품이다. 화자는 권력을 가진 사람들로부터 관심을 받지 못하는 상황을 ‘수레나 말 탄 사람’들이 꽃을 쳐다보지 않는 상황에 빗대고 있다. 남들보다 뛰어난 자질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발휘할 수 없는 상황을 그려 내고 있는 것이다. 이 시에서 1행의 ‘적막한 거친 밭’은 ‘촉규화’가 피어난 터전을 의미하는데, 이는 출신 성분이 낮은 화자(정확히는 시인 최치원)의 상황과도 관련이 깊다. 화자는 2행에서 ‘번성한 꽃’이라는 시어를 통해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부심을 표출하고 있는데, 이런 화자에게 있어 ‘촉규화’가 느끼는 부끄러움은 곧 신분적 한계로 인해 능력을 드러낼 수 없는 화자의 한스러움과 안타까움을 빗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주제

자신의 능력을 알아주지 않는 현실에 대한 한스러움

 

구성

기(1행~2행) 적막한 거친 밭 곁에 피어난 탐스러운 촉규화

승(3행~4행) 가볍게 퍼지는 촉규화의 향기

전(5행~6행) 수레나 말 탄 사람들로부터 관심을 받지 못하는 촉규화

결(7행~8행) 태어난 땅이 천해서 사람들로부터 버림받은 한스러움

 

주요 내용 정리 1

① 화자는 ‘촉규화’의 처지를 빌려 ‘수레나 말 탄 사람’이 자신을 보아 주지 않는 상황, ‘태어난 땅 천’해서 주목받지 못하는 상황을 드러내고 있다.

② 화자는 자신의 포부를 펼치기 힘든 현재의 상황을 언급하고 그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③ 화자는 현재의 처지를 한스럽게 생각하고 있으므로 단순히 자연을 벗 삼아 한가한 삶을 누리고 있다고 말할 수 없다.

④ 화자는 눙력이 있음에도 그것을 발휘할 수 없는 상황을 이야기하고 있다.

⑤ 하는 일이 없다고 해서 그것을 부끄러워하거나 반성하는 것은 아니다.

⑥ 화자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부심을 촉규화를 통해 드러내고 있다.

⑦ 학문적 성취를 이루지 못한 것을 인정하거나 아쉬워하는 상황은 아니다.

⑧ 능력을 발휘할 수 없는 현실에 대해 괴로움을 표출하고 있다.

⑨ 부정적 현실 상황을 직접적으로 비판하는 것은 아니다.

⑩ 현실에 대한 대안도 제시되어 있지 않다.

 

주요 내용 정리 2

① 화자는 자신을 촉규화에 연결 지어 보면서 ‘적막한 거친 밭’이라는 시어를 제시하고 있다.

② ‘거친 밭’은 능력을 펼칠 수 없는 화자의 상황을 상징적으로 드러낼 수 있다.

③ 화자는 ‘수레나 말 탄 사람’이 촉규화를 주목하지 않는 상황을 안타까워한다.

④ ‘수레나 말 탄 사람’은 권력층이나 지배층, 즉 자신에게 능력을 펼쳐 보일 기회를 줄 수 있는 권력자들을 의미할 수 있다.

⑤ 화자는 사람들로부터 주목받지 못하는 촉규화의 상황을 ‘태어난 땅 천한 것’과 관련짓고 있다.

⑥ 화자는 ‘태어난 땅 천한 것’을 ‘스스로 부끄러워’한다고 말하고 있다. 이는 촉규화에 동질감을 느끼는 화자 역시 가질 수 있는 심정이다.

⑦ 시인 최치원은 <촉규화>를 통해서 대단한 능력을 지니고 있음에도 주목받지 못하는 자신의 처지를 형상화하고 있다.

⑧ ‘번성한 꽃’이나 ‘향기’는 촉규화의 훌륭한 가치나 재능, 즉 최치원의 뛰어난 능력을 상징할 수 있는 시어이다.

⑨ ‘벌이나 나비’는 촉규화를 부질없이 엿보는 사람들을 의미한다.

촉규화개념정리.hwp
0.13MB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