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개념정리

곡자 개념정리(허난설헌)

철투쌤 2023. 12. 11. 14:12
반응형

곡자(哭子)

해제와 주제

이 작품은 작자가 어린 두 자식을 연이어 잃고 난 후 비통한 심정을 노래한 오언고시의 한시이다. 작가의 실제 체험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에 특별한 시적 기교를 사용하기보다는 자식을 잃은 어머니의 지극한 슬픔이 영탄적 어조를 통해 그대로 노출되어 나타나 있다. 자식을 묻는 무덤가의 쓸쓸한 풍경 묘사와 화자의 처지를 잘 드러내는 고사의 인용 등을 통해 화자의 슬픈 정서를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주제

자식을 잃은 어머니의 비통한 심정

 

구성

1~2행 : 아들과 딸을 연이어 사별함.

3~6행 : 자식의 무덤에서 느끼는 쓸쓸한 심회

7~10행 : 제를 올리며 죽은 자식들이 행복하기를 바람

11~14행 : 피눈물에 목이 메는 슬픔

 

 

주요 특징 정리 1

① 딸과 아들을 여읜 슬픔을 노래하고 있다.

② 화자의 체험을 바탕으로 쓴 작품이다.

③ ‘서러워라’, ‘애끓는’ 등의 표현을 통해 화자의 정서가 직설적으로 드러나 있음을 알 수 있다.

④ 화자가 느끼는 정서는 자식을 잃은 ‘슬픔’으로 일관되게 나타나 있고, 정서의 전환은 나타나 있지 않다.

⑤ 수미상관의 구조는 나타나 있지 않다.

⑥ ‘바람’, ‘도깨비불’ 등의 시어를 통해 화자의 정서를 나타내고 있다.

⑦ 의인화된 대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⑧ 3행에서 ‘서러워라, 서러워라 광릉 땅이여’라는 표현은 감정 이입으로 볼 여지도 있다.

⑨ ‘광릉 땅’ 역시 의인화된 대상은 아니다.

⑩ 자식을 잃은 화자의 슬픔을 사물과 상황을 통해 환기하고 있다.

 

 

주요 특징 정리 2

① 화자의 상황과 대조되는 대상은 나타나 있지 않다.

② 화자의 슬픔은 ‘아기’를 통해서 극복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③ ‘광릉 땅’은 화자의 죽은 딸과 아들이 묻혀 있는 공간으로, 화자에게 상실의 정서를 불러일으키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④ 화자의 처지를 고려할 때, 자식의 무덤가 근처에 심어져 있는 사시나무를 스치는 바람 소리는 쓸쓸하고 애상적인 정서를 환기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⑤ 무덤가에 술잔을 따른다는 것은 죽은 이를 추억하고 위로하는 행위로 이해할 수 있다.

⑥ ‘피눈물’은 ‘눈물’보다 더 큰 슬픔을 보여 주는 것으로, 이는 자식을 잃은 화자의 슬픔이 매우 큼을 의미하는 것이다.

⑦ 화자는 자식을 잃은 불행한 처지를 슬퍼하고 있으나 이를 원망하는 모습은 나타나 있지 않다.

⑧ 화자의 혈육의 죽음을 노래하고 있다.

⑨ 이 작품은 아들과 딸의 죽음을 ‘여의고’, ‘잃’은 것이라 하여 다시 만날 수 없다고 생각하고 있기에 삶과 죽음의 세계를 단절된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⑩ 화자가 현재 있는 공간은 자식들의 무덤이 있는 광릉 땅이다.

곡자개념정리(허난설헌).hwp
0.12MB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