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개념정리

도산십이곡, 이황-개념정리(언지)

철투쌤 2024. 1. 5. 23:59
반응형

도산십이곡(언지1곡~6곡)

해제

 이 작품은 총 12수로 되어 있는 연시조로, 전반부인 전(前) 6곡의 언지(言志)와 후반부인 후(後) 6곡의 언학(言學)으로 나뉘어 있다. 전 6곡인 언지는 자연에 동화된 생활을 하면서 느끼는 감흥을, 후 6곡인 언학은 학문과 수양으 자세를 노래한 것이다. 위 부분은 전 6곡에 해당하며 작가가 세운 도산 서원 주변의 경관을 바라보며 일어나는 감흥과 세속에 얽매이지 않고 자연과 벗하며 살고 싶은 심정이 잘 드러나 있다.

 

구성

전 6곡 : 자연 속에 묻혀 살고 싶은 소망

-제1곡 : 자연을 사랑하여 은거하고자 하는 마음

-제2곡 : 자연 속에서 천성을 거스르지 않고 소박하게 늙어가고자 하는 마음

-제3곡 : 인간의 천성에 대한 믿음

-제4곡 : 자연의 아름다움과 연군의 마음

-제5곡 : 속세에 마음을 두는 것을 경계함

-제6곡 : 대자연의 조화와 이치에 대한 감탄

 

후 6곡 : 학문 수양에 대한 변함없는 의지

 

 

주요 특징 정리1

① 화자는 자신을 ‘초야우생(시골에 묻혀 사는 어리석은 사람)’으로 표현하고, ‘천석고황(자연 속에서 살고 싶은 간절한 마음 때문에 생긴 깊은 병)’을 통해 세속에 물들지 않고 자연을 벗 삼아 자연에 묻혀서 안분지족의 삶을 살고 싶은 소망을 드러낸다.

② 제1곡에서 화자는 자신을 드러내고 삶의 지향을 제시함으로써 주제 의식을 환기한다.

③ 제2곡에서는 자연을 벗 삼아 태평성대 속에서 한가롭게 살아가면서 허물이나 없기를 바라는, 즉 화자가 자신의 삶에서 바라는 개인적인 소망에 화자의 관심이 집중되어 있다.

④ 제2곡에서 화자 자신에 대한 관심이 제3곡에서는 세상의 순박한 풍습과 사람들의 어진 품성을 강조하며 사회로 확대되고 있다.

⑤ 제4곡에서는 골짜기에 있는 ‘유란’과 산에 있는 ‘백운’을 통해, 제5곡에서는 산 앞에 있는 높은 대와 그 대 아래 흘러가는 물, 그리고 떼 지어 오락가락 날아다니는 갈매기를 통해 화자가 머무르며 바라보는 공간을 입체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⑥ 아름다운 자연에서 느끼는 감흥이 제6곡의 초장에서는 봄과 가을의 한 계절씩으로 표현되어 있다. 이것이 중장에서는 사시, 즉 일 년 사계절로, 종장에서는 영원한 것으로 시간이 점층적으로 확대되어 표현되어 있다. 이런 점층적인 표현을 통해 자연 속에 묻혀서 살고 싶어 하는 자연 친화적인 삶의 추구라는 전 6곡의 주제 의식이 집약되어 표현되었다.

⑦ ‘연하’는 안개와 노을을, ‘풍월’은 바람과 달을 뜻하는 말이다.

⑧ ‘연하’, ‘풍월’을 둘 다 화자가 동화되고자 하는 자연으로, 화자에게 만족감을 주는 소재이다.

⑨ ‘순풍’은 세상의 순박한 풍속을, ‘인성’은 사람들의 어진 품성을 나타내는 말로, 화자가 바라는 세상의 모습을 말해 준다.

⑩ ‘유란’은 그윽한 난을, ‘백운’은 흰 눈을 뜻하는데 모두 화자가 바라보며 만족감을 느끼는 대상이다.

⑪ ‘화만산’은 산에 가득한 꽃을, ‘월만대’는 대에 가득한 달빛을 뜻한다.

⑫ 꽃과 달빛은 모두 자신이 벗이 되어 즐거움을 느끼고자 하는 대상이다.

⑬ 꽃과 달빛이 산과 대에 가득하다는 것은 아름다운 꽃과 달빛이 가득한 자연의 풍경에서 화자가 충만감을 느끼고 있음을 표현한 것이다.

도산십이곡(이황)개념정리.hwp
0.15MB

728x90
반응형

'문학개념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품사의 통용  (0) 2024.03.26
설중방우인불우, 개념정리, 이규보  (0) 2024.01.05
송인-개념정리, 정지상  (0) 2024.01.05
촉규화 개념정리(최치원)  (0) 2023.12.16
추야우중 개념정리(최치원)  (0) 2023.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