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2/16 3

촉규화 개념정리(최치원)

촉규화 해제 ‘촉규화(접시꽃)’라는 꽃이 피어 있는 모습을 통해 낮은 신분으로 인해 자신의 능력을 펼쳐 보이지 못하는 화자의 안타까움을 드러낸 작품이다. 화자는 권력을 가진 사람들로부터 관심을 받지 못하는 상황을 ‘수레나 말 탄 사람’들이 꽃을 쳐다보지 않는 상황에 빗대고 있다. 남들보다 뛰어난 자질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발휘할 수 없는 상황을 그려 내고 있는 것이다. 이 시에서 1행의 ‘적막한 거친 밭’은 ‘촉규화’가 피어난 터전을 의미하는데, 이는 출신 성분이 낮은 화자(정확히는 시인 최치원)의 상황과도 관련이 깊다. 화자는 2행에서 ‘번성한 꽃’이라는 시어를 통해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부심을 표출하고 있는데, 이런 화자에게 있어 ‘촉규화’가 느끼는 부끄러움은 곧 신분적 한계로 인해 능력..

문학개념정리 2023.12.16

추야우중 개념정리(최치원)

추야우중 해제 이 작품은 신라 말기의 문인인 최치원이 쓴 한시를 현대어로 번역하여 옮긴 것이다. 최치원은 당나라 유학을 하고 고국으로 돌아와 정치적인 뜻을 펼치고자 했으나 신분적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가야산에서 은거하다가 생을 마쳤다고 한다. 이 작품은 자신을 알아주지 않는 세상 사람들에 대한 원망을 비 오는 가을밤을 배경으로 노래하고 있다. 그런데 창작 시기를 어느 때로 보느냐에 따라 해석이 달라지기도 한다. 최치원이 당나라 유학 시절 창작한 것으로 본다면 이 시는 고국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한 것이 되고, 귀국한 후에 지은 것으로 본다면 좌절한 지식인의 고뇌를 노래한 것이 된다. 당나라에서 이름을 떨치던 최치원이 신라에 돌아와서 육두품 신분으로 인해 자신의 뜻과 능력을 발휘하지 못해 고뇌하는 모습을 ..

문학개념정리 2023.12.16

제가야산독서당 개념정리(최치원)

제가야산독서당 해제 이 작품은 당나라 유학을 마치고 돌아온 작가가 자연의 물소리를 빌려 속세와 단절하고 자연 속에서 은둔하고자 하는 의지를 표현한 한시이다. 작가는 물소리와 시비하는 소리를 대조적으로 제시하며 속세와의 단절에 대한 의지를 드러내고 있는데, 이를 통해 작가가 현실에서 겪은 좌절과 절망을 짐작할 수 있다. 주제 속세를 멀리하며 자연에서 은둔하고자 하는 의지 구성 기 : 산골짜기를 흐르는 물소리의 웅장함 승 : 가까이에 있는 사람의 소리마저 차단하는 물소리 전 : 속세의 시비하는 소리와 멀어지고 싶은 마음 결 : 속세를 멀리하며 자연에서 은둔하고자 하는 의지 주요 특징 정리 1 ① ‘두려워하기에’는 화자를 향한 속세의 평가에 대한 반응이라는 점에서 현재 듣고 있는 소리에 대한 화자의 반응과는 ..

문학개념정리 2023.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