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개념정리

모죽지랑가, 개념 정리

철투쌤 2023. 11. 24. 11:47
반응형

모죽지랑가

해제와 구성

 이 작품은 삼국유사에 수록된 신라 시대 8구체 향가로, 화랑 죽지랑의 낭도였던 득오가 죽지랑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한 것이다. 작품의 창작 시기가 죽지랑 생존 시기인지, 사후인지에 대해 이견이 있으나, 일연은 이 작품을 기록하여 죽지랑의 고귀한 인품을 드러내려 한 것으로 보인다.

 

모죽지랑가, 배경설화

 죽지랑의 무리에 득오곡이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매일 죽지랑을 모시다가 갑자기 열흘 가까이 나오지 않으므로 죽지랑이 그의 어미를 불러 연유를 물었다. 이에 그의 어미가 모량리(牟梁里)의 익선 아간(益宣阿干)이 부산성의 창고지기로 급히 임명하여, 미처 인사도 못 여쭙고 떠나게 되었음을 고하였다.

 죽지랑이 낭도 137인을 거느리고 떡과 술을 가지고 득오곡을 위로하러 가서는 밭에서 일하고 있는 득오곡을 불러 떡과 술을 먹이고 익선에게 휴가를 주어 함께 돌아갈 수 있도록 해줄 것을 청하였으나 익선은 굳이 허락하지 않았다. 이때 사리(使吏) 간진(侃珍)이 세금으로 곡식 30석을 거두어 성중으로 돌아가다가 낭의 선비를 아끼는 인품을 아름답게 보고, 익선의 융통성 없음을 못마땅하게 여겨 곡식 30석을 주면서 낭의 청을 허락해줄 것을 청하였지만, 그래도 듣지 않으므로 다시 말과 안장까지 주자 그때서야 득오곡을 놓아 주었다.

 이러한 후의를 입은 득오곡이 죽지랑을 사모해서 이 노래를 지었다는 것이다.

 

 

주요 특징 정리 1

화자는 을 다시 만나지 못하는 상황에 안타까워하고 있다.

화자는 을 지칭함으로써 그 대상이 근심의 원인임을 부각하고 있다.

화자는 대상을 부르고 있다. 대상과 서로 묻고 답하지는 않는다.

모든 것서러워 시름하고 있으므로, 의인화하여 화자의 정서를 투영한 자연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특정 자연물은 아니다.

화자는 상대방에 대한 자신의 마음을 드러내고 있다.

반어적 표현은 찾을 수 없다.

촉각적 심상으로 볼 수 있는 요소가 나타나지 않는다.

은 화자가 그리워하는 상대를 향해 가는 길이다. 이는 낭과 다시 만나려는 화자의 소망이 형상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은 화자가 낭과 다시 만나게 해 줄 수 있는 긍정적인 통로이다.

화자는 을 통해 낭을 다시 만나려 하고 있다. ‘에서 갈등을 회피하는 태도를 찾을 수 없다.

 

주요 특징 정리 2

살쯈은 화자가 그리워하는 죽지랑의 얼굴에 있는 것이므로, 죽지랑의 현재 상태와 관련된다.

득오가 죽지랑의 은혜에 보답하지 못한다고 자괴감을 느끼는 부분은 작품에 나타나지 않는다.

이 지닌 긍정적인 이미지와 화자가 이를 그리워한다는 점을 득오와 죽지랑의 인연과 연결해보면, ‘은 득오가 죽지랑과 함께했던 좋았던 시절로 해석해 볼 수 있다.

시름은 무언가에 대한 근심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화자의 근심은 죽지랑을 보지 못하는 것이므로, 만나지 못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시름은 더욱 깊어질 수밖에 없다.

죽지랑이 아랫사람에게 보여 준 따뜻한 태도를 고려할 때, 아름다움을 나타낸 얼굴은 외면의 아름다움을 넘어 내면의 아름다움을 형상화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죽지랑을 다시 만날 때까지 화자가 가는 길은 끝나지 않을 것이다.

밤에도 잠을 이루지 못하리라고 하는 것은 화자가 그만큼 죽지랑을 간절히 그리워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모죽지랑가개념정리.hwp
0.14MB

728x90
반응형

'문학개념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찬기파랑가(양주동 역), 개념 정리  (0) 2023.11.24
찬기파랑가(김완진 역), 개념 정리  (0) 2023.11.24
안민가, 개념 정리  (0) 2023.11.24
제망매가, 개념 정리  (0) 2023.11.23
원왕생가, 개념 정리  (0) 2023.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