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왕생가
해제와 구성
이 작품은 신라 문무왕 때 광덕이 지었다고 전해지는 10구체의 향가이다. 아미타불에게 의지하여 서방정토로 가려는 소망을 달을 통해 전하려 하는 노래로, 불교적 내세관을 보여 주고 있다. 아미타불이 맹세한 중생 제도의 서원을 상기시켜 화자의 왕생에 대한 의지를 강조하고 있다.
원왕생가, 배경설화
문무왕대에 사문(沙門)인 광덕(廣德)과 엄장(嚴莊)이라는 두 친구가 있었다. 두 사람은 서로 서방정토(西方淨土)에 왕생(往生)할 것을 약속하였다. 그러던 어느 날 수도생활에만 전념하던 광덕이 먼저 죽자, 엄장은 광덕의 아내와 함께 유해를 거두어 장사를 지냈다. 그 일을 끝낸 뒤, 엄장이 광덕의 아내에게 동거하기를 청하자 그이가 이를 허락하였다. 밤에 엄장이 정을 통하려 하니 광덕의 아내는 정색을 하면서 말하기를, “죽은 남편은 10여 년을 같이 살았으나 한 번도 동침하지 않고 오직 수도에만 전념하였는데, 지금 당신은 이런 추한 행동을 하려 하니 정토를 구하기는 나무에서 물고기를 구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라고 하였다. 이에 엄장은 부끄러움을 느끼며 물러나와 몸을 깨끗이 하고 크게 뉘우쳐 한마음으로 관(觀)을 닦은 결과 엄장 또한 서방정토로 왕생하게 되었다. 그 부인은 분황사(芬皇寺)의 비(婢)인데, 실은 관음보살의 십구응신(十九應身)의 하나였다. 그런데 광덕에게 일찍이 <원왕생가>라는 ‘노래가 있었다.’고 한다.
원왕생가, 주제와 주요 특징
※주요 특징 정리 1
① 초월적 대상을 통해 소망을 이루려는 기원가의 전형
② 소망과 기원의 어조로 극락(서방정토) 왕생을 기원함
③ 불교 사상의 영향을 받음
④ 달은 화자의 소원을 전달하는 역할을 함
⑤ 향가의 구성은 3단 구성이다.
⑥ 향가는 낙구 첫머리에 감탄사가 있다.
⑦ ‘원왕생’이라는 같은 말을 반복하는 모습이 나타난다.
⑧ ‘가시겠습니까’, ‘이루실까’ 등의 의문형 어미를 사용하여 자신의 바람을 완곡하게 표현하고 있다.
⑨ ‘달’이라는 자연물을 언급하고 있으나 소재에 화자의 감정을 이입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⑩ 두 손을 모으고 왕생을 그리는 화자의 모습이 드러나 있다.
※주요 특징 정리 2
① ‘서방’은 화자가 가고자 하나 마음대로 갈 수 없는 먼 곳이다.
② ‘서방’은 현실을 초월한 공간이다.
③ 화자는 ‘달’에게 서방의 무량수불에게 자신의 소원을 전해 달라고 부탁하고 있다.
④ ‘달’은 화자와 무량수불을 이어 줄 매개체라 할 수 있다.
⑤ 화자가 달에게 부탁하는 ‘보고의 말씀’은 5~8구에서 구체화되고 있다.
⑥ ‘보고의 말씀’의 내용은 ‘왕생’을 그리는 자신을 무량수불에게 말해 달라는 것이다.
⑦ ‘두 손을 곧추 모아’에서 화자의 간절함을 느낄 수 있다.
⑧ 아미타불에게 자신을 서방정토로 이끌어 달라는 소원을 빌고 있는, 개인 구제의 성격을 지닌 노래이다.
⑨ 화자는 모두 외부의 도움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바를 이루려 하고 있다.
'문학개념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민가, 개념 정리 (0) | 2023.11.24 |
---|---|
제망매가, 개념 정리 (0) | 2023.11.23 |
정읍사, 개념 정리 (0) | 2023.11.22 |
해가, 개념 정리 (0) | 2023.11.21 |
황조가, 개념 정리 (0) | 2023.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