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1/24 4

찬기파랑가(양주동 역), 개념 정리

찬기파랑가(양주동 역) 해제와 구성 신라 경덕왕 때의 승려 낭도(화랑단에 속한 승려로 정통 불교 승려와는 구분되는 처지임)였던 충담사가 지은 10구체 향가이다. 화랑으로서 그 뜻이 높았던 기파랑의 모습과 그가 남긴 자취를 천상의 풍경과 지상의 풍경으로 시선을 교차, 중첩하면서 표현한 작품이다. 천상과 지상의 자연물인 달, 흰 구름, 냇물, 자갈, 잣 가지 등은 모두 기파랑의 성격과 남은 자취, 화자가 그리워하는 기파랑의 모습에 대한 비유, 상징으로 기능하고 있다. 이는 신라인들이 생각했던 이상적인 화랑의 면모를 보여 주는 것이다. ※주요 특징 정리 1 ① 잣나무는 계절에 따라 모습이 바뀌지 않는 상록수로서 기파랑의 절개를 상징하는 자연물이다. ② 계절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지 않기 때문에, 잣나무를 통해 ..

문학개념정리 2023.11.24

찬기파랑가(김완진 역), 개념 정리

찬기파랑가(김완진 역) 해제와 구성 이 작품은 신라 경덕왕 때 승려 충담사가 화랑인 기파랑을 찬양하며 지은 10구체 향가이다. 달, 물가, 수풀, 잣나무 등의 자연물을 통해 기파랑의 모습과 인품을 형상화하고 있고, 전통적으로 광명과 염원을 상징하는 달을 통해 기파랑에 대한 그리움을 부각하고 있다. 특히 잣나무는 고결하고 강직한 기파랑의 인품을 부각하는 소재로 활용되고 있으며, 시련, 역경 등을 상징하는 눈과의 대비를 통해 기파랑이 역경에 굴하지 않는 강직한 인물임을 드러내고 있다. ※주요 특징 정리 1 ① ‘마음의 갓’은 ‘낭이 지니시던’ 것으로 화자가 ‘좇고 있’는 대상이므로 화자가 살아가면서 도달하고자 하는 지향점이라고 볼 수 있다. ② 화자는 ‘마음의 갓’을 ‘좇고 있’다고 했으므로 ‘기랑’과 심리..

문학개념정리 2023.11.24

모죽지랑가, 개념 정리

모죽지랑가 해제와 구성 이 작품은 『삼국유사』에 수록된 신라 시대 8구체 향가로, 화랑 죽지랑의 낭도였던 득오가 죽지랑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한 것이다. 작품의 창작 시기가 죽지랑 생존 시기인지, 사후인지에 대해 이견이 있으나, 일연은 이 작품을 기록하여 죽지랑의 고귀한 인품을 드러내려 한 것으로 보인다. 모죽지랑가, 배경설화 죽지랑의 무리에 득오곡이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매일 죽지랑을 모시다가 갑자기 열흘 가까이 나오지 않으므로 죽지랑이 그의 어미를 불러 연유를 물었다. 이에 그의 어미가 모량리(牟梁里)의 익선 아간(益宣阿干)이 부산성의 창고지기로 급히 임명하여, 미처 인사도 못 여쭙고 떠나게 되었음을 고하였다. 죽지랑이 낭도 137인을 거느리고 떡과 술을 가지고 득오곡을 위로하러 가서는 밭에서 일하고 ..

문학개념정리 2023.11.24

안민가, 개념 정리

안민가 해제와 구성 이 작품은 제목에서도 드러나듯이 백성들을 위하는 동시에 이상적인 정치를 실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한 노래이다. 1구~4구에서는 임금과 신하가 짝이 되어 부모처럼 어린 백성들을 보살필 것을 강조하고 있고, 5구~8구에서는 좀 더 현실적인 맥락에서의 통치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즉 1구~4구의 내용이 정신적 측면을 강조한 것이라면, 5구~8구의 내용은 물질적인 측면의 문제 해결이 중요함을 밝히고 있는 것이다. 9구~10구에서는 이 노래에서 말하고자 하는 가장 핵심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고 할 수 있는데 그것은 각자 맡은 바 역할과 책임을 다해야 한다는 것으로 임금과 신하의 역할을 차질 없이 수행해야 나라가 태평하게 될 것이라는 생각을 담고 있다. 충담사는 역사적 경험과 당대 현실..

문학개념정리 2023.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