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개념정리

정읍사, 개념 정리

철투쌤 2023. 11. 22. 12:02
반응형

정읍사

 

 

해제와 구성

 이 작품은 현전하는 유일한 백제 가요이다. 행상을 나간 남편을 기다리는 아내가 달을 보며 남편의 무사 귀환을 기원하는 내용이다. ‘ᄃᆞᆯ은 기원의 대상으로서 광명을 상징하며, ‘는 어둠과 위험을 상징한다. 여성 화자의 기다림과 간절함이 잘 드러나는 작품으로, 후렴구를 제외한 나머지 구절들을 정리하면 36구의 형식과 유사하명 시조 형식의 기원으로 보기도 한다.

 

정읍사, 관련한 배경 설화

 정읍은 전주 속현이다. 고을의 한 사람이 장사에 나가 오래도록 돌아오지 않아 그 아내가 고개의 돌에 올라 바라보며, 그 남편이 밤에 길을 걷다가 어떤 침해를 받지 않을까 두려워하여 수렁물에 비유하여 노래하였다. 세상에 전하기를, 오른 고개에 "망부석"이 있다 한다. [고려사 악지]에 기록

 

정읍사, 관련한 배경 설화 2 망부석 설화

 망부석의 유래 설화로, 아내가 죽어서 돌이 된 것이 아니라 자연석인 돌에서 기다려 그 돌에 망부석이라는 이름이 붙은 경우의 설화도 이에 해당된다.

 대표적인 설화는 신라시대 박제상(朴堤上, 또는 金堤上)의 아내가 치술령에서 죽어 망부석이 되었다는 이야기이다. 눌지왕 때 고구려에 볼모로 잡혀간 왕제(王弟)를 구해 온 박제상은 집에도 들르지 않고 바로 일본에 건너가 또 다른 왕제를 구해 보낸 뒤 일본에서 신라의 신하임을 고집하다 죽는다.

그의 아내는 일본에 간 남편을 기다리다 죽어서 망부석이 되고, 그 곳 주민은 부인을 칭송한다. 박제상의 부인은 죽어서 치()라는 새가 되고 같이 기다리다 죽은 세 딸은 술()이라는 새가 되었다는 전설도 있고, 이들 모녀가 치술령신모(鵄述嶺神母)가 되었고 이에 주민들이 사당을 지어 모셨다는 기록도 있다.

 

주요 특징 정리 1

남편의 무사 귀환을 비는 아내의 소망을 강조한다.

노피곰머리곰은 아내가 남편의 안전을 ᄃᆞᆯ에 소망하는 내용을 강조한다.

져재 녀러신고요에서 져재는 아내가 떠올린 남편이 있을 만한 곳이다.

져재를 통해서 남편이 행상인임을 알 수 있다.

욜셰라는 남편이 를 밟아 무사히 귀환하지 못할까 두려워하는 아내의 마음을 보여주고 있다.

노코시라에는 안전히 돌아오기를 바라는 마음이 나타난다.

노코시라는 남편을 걱정하는 마음을 담아 권유하는 바를 말한 것이다.

은 기원의 대상으로 아내의 소망을 듣는 존재이다.

화자가 에게 말을 걸고 있다.

 

 

주요 특징 정리 2

비취오시라는 화자가 다른 장소에 있는 임의 안전을 바라는 태도와 관련이 있다.

ᄃᆞᆯ은 화자가 자신의 소망을 이루어 줄 것으로 기대하는 신성한 대상으로 볼 수 있다.

후렴구를 제외하고도 어긔야등의 조흥구(흥을 돋우는 말이나 소리)를 찾을 수 있다.

후렴구인 어긔야 어강됴리 / 아으 다롱디리는 조흥의 기능을 가진 것으로 특별한 의미가 없다.

후렴구의 아으는 감탄의 기능을 담당하는 말이나 소리로 볼 수 있다.

여음구는 작품의 형식적 측면에서 음악적 요소를 고려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내 가논 졈그ᄅᆞᆯ셰라의 발화 주체를 화자로 본다면 남편을 마중하는 길이 저물 것을 염려하는 심정을 표현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 져재 녀러신고요에서 ()’을 전주로 보년 견해도 있고, 특정 지명이 아니라 모든()’으로 본다면 화자의 그리움과 기다림의 정서가 미치는 지역이 모든 지역으로 확장된다고 볼 수도 있다.

셜온 님서러워하는 임으로 본다면 화자가 어쩔 수 없이 임을 보내는 상황으로 볼 수 있다.

셜온 님나를 서럽게하는 임으로 본다면 떠나는 임으로 인해 화자가 느끼는 이별의 고통을 부각했다고 볼 수 있다.

 

정읍사개념정리.hwp
0.14MB

728x90
반응형

'문학개념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망매가, 개념 정리  (0) 2023.11.23
원왕생가, 개념 정리  (0) 2023.11.23
해가, 개념 정리  (0) 2023.11.21
황조가, 개념 정리  (0) 2023.11.21
공무도하가, 개념 정리  (0) 2023.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