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1/23 2

제망매가, 개념 정리

제망매가 해제와 구성 이 작품은 10구체 향가로, 작가 월명사가 죽은 누이동생의 명복을 비는 추모적 성격의 노래이다. 이른 나이에 요절한 누이동생을 안타깝게 여기는 애상적 정서가 담겨 있다. ‘바람’, ‘잎’, ‘가지’ 등의 표현을 통하여 누이동생의 죽음에 대한 슬픔과 허무감을 절묘하고 감각적으로 형상화하였다. 또한 누이동생이 극락에 갔을 것이라고 믿고 자신도 불도에 정진하여 누이동생과 재회하겠다는 구도자적 다짐이 드러나 있다. 불심(佛心)을 통하여 개인적 고뇌와 삶의 허무함을 극복하고 있어 종교적 색채도 드러난다. 제망매가, 배경설화 신라 경덕왕 때 월명사(月明師)가 지은 10구체 향가. ≪삼국유사≫ 권5 감통(感通)7 ‘월명사 솔가조(月明師兜率歌條)’에 실려 있다. 기록에 따르면 죽은 누이의 명복을 ..

문학개념정리 2023.11.23

원왕생가, 개념 정리

원왕생가 해제와 구성 이 작품은 신라 문무왕 때 광덕이 지었다고 전해지는 10구체의 향가이다. 아미타불에게 의지하여 서방정토로 가려는 소망을 달을 통해 전하려 하는 노래로, 불교적 내세관을 보여 주고 있다. 아미타불이 맹세한 중생 제도의 서원을 상기시켜 화자의 왕생에 대한 의지를 강조하고 있다. 원왕생가, 배경설화 문무왕대에 사문(沙門)인 광덕(廣德)과 엄장(嚴莊)이라는 두 친구가 있었다. 두 사람은 서로 서방정토(西方淨土)에 왕생(往生)할 것을 약속하였다. 그러던 어느 날 수도생활에만 전념하던 광덕이 먼저 죽자, 엄장은 광덕의 아내와 함께 유해를 거두어 장사를 지냈다. 그 일을 끝낸 뒤, 엄장이 광덕의 아내에게 동거하기를 청하자 그이가 이를 허락하였다. 밤에 엄장이 정을 통하려 하니 광덕의 아내는 정색..

문학개념정리 2023.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