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80

사모곡, 개념 정리(고려가요)

사모곡 해제와 구성 작자를 알 수 없는 고려 속요 작품 가운데 하나이다. 어머니의 사랑을 낫에, 아버지의 사랑을 호미에 비유하고는 어머니의 사랑이 아버지의 그것보다 훨씬 섬세하고 깊다는 내용을 소박한 어조와 극진한 태도로 표현하였다. 와 에 전한다. ※주요 특징 정리 1 ① 앞 문장의 뒷부분을 다음 문장의 첫 부분에 이어 서술하는 연쇄법이 적용되지 않았다. ② 호미와 낫, 아버지와 어머니를 비교하고 있다. ③ ‘어머님같이 사랑하실 이 없어라’라는 표현이 두 차례 반복되고 있다. ④ ‘호미’보다 잘 드는 ‘낫’은 아버님보다 더 사랑해 주시는 어머님의 마음을 비유한 것이다. ⑤ ‘낫’만 ‘호미’보다 우월한 존재로 나타나고 있다. ⑥ ‘낫’은 친숙한 소재이기 때문에 등장했을 뿐, 실제 농사의 어려움을 나타내는..

문학개념정리 2023.11.25

처용가, 개념 정리

처용가 해제와 구성 신라 49대 헌강왕 때 처용이 역신을 쫓기 위해 지어 부른 8구체 향가이며, 본 작품과 의 국문 표기를 비교함으로써 향찰이 해독되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의 작가 처용의 정체에 대한 논란이 많다. 우선 민속학적으로 처용을 무속인의 시초로 보는 관점, 정치사적으로 기인(其人: 지방 향리의 자제로 중앙 정부에 볼모처럼 잡혀 실무를 맡았던 사람들)과 유사했던 지방 호족의 자제로 보는 입장, 문화사적으로 아랍 상인의 국내 정착 모습 등 다양하게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이 작품에서 가장 특색 있는 것은 달관과 관용의 태도를 통해 역신을 감화시키는 다소 특이한 벽사진경(辟邪進慶 : 귀신을 물리치고 기쁜 일을 맞이함)의 자세라 하겠다. 이는 와는 구별되는, 신라인의 관용을 보여준다. 처용가, 배경 ..

문학개념정리 2023.11.25

헌화가, 개념 정리

헌화가 해제와 구성 신라 성덕왕 때 지어진 4구체 향가로 당대의 미인으로 유명했던 수로 부인과 관련된 배경 설화와 함께 전해진다. 남편 순정공과 함께 강릉에 가던 수로 부인이 절벽에 핀 예쁜 꽃을 보고 누가 저 꽃을 따 주겠냐고 물었지만 아무도 나서지 않았다. 그때 암소를 끌고 지나가던 노인이 그 꽃을 따 와서 수로 부인에게 바치면서 이 노래를 지어 불렀다고 한다. 향찰로 표기된 작품으로 소박하고 순수한 사랑의 마음이 잘 드러난다. 제시된 지문은 김완진의 향찰 해독을 현대어로 푼 것이다. 헌화가, 배경 설화 성덕왕대 순정공(純貞公)이 강릉 태수로 부임해 가다가 해변에서 점심을 먹게 되었다. 그 곁에는 높이 천 길이나 되는 돌산 봉우리들이 병풍처럼 바다에 닿아 있는데, 그 위에 철쭉꽃이 많이 피어 있었다...

문학개념정리 2023.11.25

찬기파랑가(양주동 역), 개념 정리

찬기파랑가(양주동 역) 해제와 구성 신라 경덕왕 때의 승려 낭도(화랑단에 속한 승려로 정통 불교 승려와는 구분되는 처지임)였던 충담사가 지은 10구체 향가이다. 화랑으로서 그 뜻이 높았던 기파랑의 모습과 그가 남긴 자취를 천상의 풍경과 지상의 풍경으로 시선을 교차, 중첩하면서 표현한 작품이다. 천상과 지상의 자연물인 달, 흰 구름, 냇물, 자갈, 잣 가지 등은 모두 기파랑의 성격과 남은 자취, 화자가 그리워하는 기파랑의 모습에 대한 비유, 상징으로 기능하고 있다. 이는 신라인들이 생각했던 이상적인 화랑의 면모를 보여 주는 것이다. ※주요 특징 정리 1 ① 잣나무는 계절에 따라 모습이 바뀌지 않는 상록수로서 기파랑의 절개를 상징하는 자연물이다. ② 계절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지 않기 때문에, 잣나무를 통해 ..

문학개념정리 2023.11.24

찬기파랑가(김완진 역), 개념 정리

찬기파랑가(김완진 역) 해제와 구성 이 작품은 신라 경덕왕 때 승려 충담사가 화랑인 기파랑을 찬양하며 지은 10구체 향가이다. 달, 물가, 수풀, 잣나무 등의 자연물을 통해 기파랑의 모습과 인품을 형상화하고 있고, 전통적으로 광명과 염원을 상징하는 달을 통해 기파랑에 대한 그리움을 부각하고 있다. 특히 잣나무는 고결하고 강직한 기파랑의 인품을 부각하는 소재로 활용되고 있으며, 시련, 역경 등을 상징하는 눈과의 대비를 통해 기파랑이 역경에 굴하지 않는 강직한 인물임을 드러내고 있다. ※주요 특징 정리 1 ① ‘마음의 갓’은 ‘낭이 지니시던’ 것으로 화자가 ‘좇고 있’는 대상이므로 화자가 살아가면서 도달하고자 하는 지향점이라고 볼 수 있다. ② 화자는 ‘마음의 갓’을 ‘좇고 있’다고 했으므로 ‘기랑’과 심리..

문학개념정리 2023.11.24

모죽지랑가, 개념 정리

모죽지랑가 해제와 구성 이 작품은 『삼국유사』에 수록된 신라 시대 8구체 향가로, 화랑 죽지랑의 낭도였던 득오가 죽지랑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한 것이다. 작품의 창작 시기가 죽지랑 생존 시기인지, 사후인지에 대해 이견이 있으나, 일연은 이 작품을 기록하여 죽지랑의 고귀한 인품을 드러내려 한 것으로 보인다. 모죽지랑가, 배경설화 죽지랑의 무리에 득오곡이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매일 죽지랑을 모시다가 갑자기 열흘 가까이 나오지 않으므로 죽지랑이 그의 어미를 불러 연유를 물었다. 이에 그의 어미가 모량리(牟梁里)의 익선 아간(益宣阿干)이 부산성의 창고지기로 급히 임명하여, 미처 인사도 못 여쭙고 떠나게 되었음을 고하였다. 죽지랑이 낭도 137인을 거느리고 떡과 술을 가지고 득오곡을 위로하러 가서는 밭에서 일하고 ..

문학개념정리 2023.11.24

안민가, 개념 정리

안민가 해제와 구성 이 작품은 제목에서도 드러나듯이 백성들을 위하는 동시에 이상적인 정치를 실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한 노래이다. 1구~4구에서는 임금과 신하가 짝이 되어 부모처럼 어린 백성들을 보살필 것을 강조하고 있고, 5구~8구에서는 좀 더 현실적인 맥락에서의 통치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즉 1구~4구의 내용이 정신적 측면을 강조한 것이라면, 5구~8구의 내용은 물질적인 측면의 문제 해결이 중요함을 밝히고 있는 것이다. 9구~10구에서는 이 노래에서 말하고자 하는 가장 핵심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고 할 수 있는데 그것은 각자 맡은 바 역할과 책임을 다해야 한다는 것으로 임금과 신하의 역할을 차질 없이 수행해야 나라가 태평하게 될 것이라는 생각을 담고 있다. 충담사는 역사적 경험과 당대 현실..

문학개념정리 2023.11.24

제망매가, 개념 정리

제망매가 해제와 구성 이 작품은 10구체 향가로, 작가 월명사가 죽은 누이동생의 명복을 비는 추모적 성격의 노래이다. 이른 나이에 요절한 누이동생을 안타깝게 여기는 애상적 정서가 담겨 있다. ‘바람’, ‘잎’, ‘가지’ 등의 표현을 통하여 누이동생의 죽음에 대한 슬픔과 허무감을 절묘하고 감각적으로 형상화하였다. 또한 누이동생이 극락에 갔을 것이라고 믿고 자신도 불도에 정진하여 누이동생과 재회하겠다는 구도자적 다짐이 드러나 있다. 불심(佛心)을 통하여 개인적 고뇌와 삶의 허무함을 극복하고 있어 종교적 색채도 드러난다. 제망매가, 배경설화 신라 경덕왕 때 월명사(月明師)가 지은 10구체 향가. ≪삼국유사≫ 권5 감통(感通)7 ‘월명사 솔가조(月明師兜率歌條)’에 실려 있다. 기록에 따르면 죽은 누이의 명복을 ..

문학개념정리 2023.11.23

원왕생가, 개념 정리

원왕생가 해제와 구성 이 작품은 신라 문무왕 때 광덕이 지었다고 전해지는 10구체의 향가이다. 아미타불에게 의지하여 서방정토로 가려는 소망을 달을 통해 전하려 하는 노래로, 불교적 내세관을 보여 주고 있다. 아미타불이 맹세한 중생 제도의 서원을 상기시켜 화자의 왕생에 대한 의지를 강조하고 있다. 원왕생가, 배경설화 문무왕대에 사문(沙門)인 광덕(廣德)과 엄장(嚴莊)이라는 두 친구가 있었다. 두 사람은 서로 서방정토(西方淨土)에 왕생(往生)할 것을 약속하였다. 그러던 어느 날 수도생활에만 전념하던 광덕이 먼저 죽자, 엄장은 광덕의 아내와 함께 유해를 거두어 장사를 지냈다. 그 일을 끝낸 뒤, 엄장이 광덕의 아내에게 동거하기를 청하자 그이가 이를 허락하였다. 밤에 엄장이 정을 통하려 하니 광덕의 아내는 정색..

문학개념정리 2023.11.23

정읍사, 개념 정리

정읍사 해제와 구성 이 작품은 현전하는 유일한 백제 가요이다. 행상을 나간 남편을 기다리는 아내가 달을 보며 남편의 무사 귀환을 기원하는 내용이다. ‘ᄃᆞᆯ’은 기원의 대상으로서 광명을 상징하며, ‘즌 ’는 어둠과 위험을 상징한다. 여성 화자의 기다림과 간절함이 잘 드러나는 작품으로, 후렴구를 제외한 나머지 구절들을 정리하면 3장 6구의 형식과 유사하명 시조 형식의 기원으로 보기도 한다. 정읍사, 관련한 배경 설화 정읍은 전주 속현이다. 고을의 한 사람이 장사에 나가 오래도록 돌아오지 않아 그 아내가 고개의 돌에 올라 바라보며, 그 남편이 밤에 길을 걷다가 어떤 침해를 받지 않을까 두려워하여 수렁물에 비유하여 노래하였다. 세상에 전하기를, 오른 고개에 "망부석"이 있다 한다. [고려사 악지]에 기록 정..

문학개념정리 2023.11.22